
문 대통령이 21일(현지 시각) 뉴욕 시내 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정상회담에서 푹 베트남 국가주석과 인사하고 있다.
한국이 베트남에 다음 달 중 100만회분 이상의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하기로 했다. 한국이 특정 국가에 직접 백신을 공급하기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제76차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각) 뉴욕 한 호텔에서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양국은 코로나 발생 초기부터 방역 물자를 나누며 함께 위기를 극복했다”며 “한국은 100만회분 이상의 코로나 백신을 10월 중에 베트남에 지원하고자 한다”고 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에서 전했다.
국내 코로나 백신 1차 접종률이 70%를 돌파하고, 10월 말까지 국민 70%가 2차 접종을 마칠 것이란 전망이 나오자 백신 지원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국은 모든 사람, 모든 나라가 코로나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함께하겠다”고 했다. 구체적으로는 “코백스(백신 공동구매·배분 국제 프로젝트)에 2억달러를 공여하기로 한 약속을 이행하고,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의 한 축을 맡아 코로나 백신의 공평하고 빠른 보급을 위해 힘쓸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한·베트남 보건·백신 파트너십 구축, 베트남의 질병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한 질병예방관리시스템 구축 사업, 한국 기업이 베트남에서 준비하고 있는 백신 3상 임상시험에 대한 베트남 당국의 지원과 협조에 대해 언급했다.
또 문 대통령은 “양국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6년을 맞아 경제 협력 관계는 더욱 긴밀해지고 있고, 2023년 교역액 1000억 달러 목표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분야 협력이 더욱 강화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한국 기업들이 바이오·의약품, 인프라, 금융 분야에서 베트남 진출을 희망하고 있다”며 베트남 측의 관심을 요청했다.
푹 주석은 “한국과 베트남의 포괄적 파트너십과 상호 신뢰 기반의 협력을 기대한다”면서 바이오, 의학, 첨단기술, 국방, 안보 분야에서 한국이 베트남에 투자해 준 것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그는 또 “한국의 팬데믹 관리, 사회경제적 회복 등 베트남은 한국으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며 2009년 수립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 단계 도약시켜 나가자고 제안했다. 양 정상은 내년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를 격상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에 베트남이 변함없는 지지를 표명해준 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했다. 문화 교류에 대해서도 문 대통령은 “베트남이 한국어를 제1외국어로 선정한 것에 감사드린다”고 했다. 푹 주석은 “박항서 감독이 베트남 축구팀을 잘 이끌어 월드컵 예선전을 치르는데 다음 경기는 호주, 중국”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베트남의 월드컵 선전을 축하하고, 앞으로도 선전을 기원한다”고 했다.
출처: 조선미디어 2021.09.22
문 대통령이 21일(현지 시각) 뉴욕 시내 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정상회담에서 푹 베트남 국가주석과 인사하고 있다.
한국이 베트남에 다음 달 중 100만회분 이상의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하기로 했다. 한국이 특정 국가에 직접 백신을 공급하기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제76차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각) 뉴욕 한 호텔에서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양국은 코로나 발생 초기부터 방역 물자를 나누며 함께 위기를 극복했다”며 “한국은 100만회분 이상의 코로나 백신을 10월 중에 베트남에 지원하고자 한다”고 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에서 전했다.
국내 코로나 백신 1차 접종률이 70%를 돌파하고, 10월 말까지 국민 70%가 2차 접종을 마칠 것이란 전망이 나오자 백신 지원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국은 모든 사람, 모든 나라가 코로나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함께하겠다”고 했다. 구체적으로는 “코백스(백신 공동구매·배분 국제 프로젝트)에 2억달러를 공여하기로 한 약속을 이행하고,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의 한 축을 맡아 코로나 백신의 공평하고 빠른 보급을 위해 힘쓸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한·베트남 보건·백신 파트너십 구축, 베트남의 질병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한 질병예방관리시스템 구축 사업, 한국 기업이 베트남에서 준비하고 있는 백신 3상 임상시험에 대한 베트남 당국의 지원과 협조에 대해 언급했다.
또 문 대통령은 “양국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6년을 맞아 경제 협력 관계는 더욱 긴밀해지고 있고, 2023년 교역액 1000억 달러 목표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분야 협력이 더욱 강화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한국 기업들이 바이오·의약품, 인프라, 금융 분야에서 베트남 진출을 희망하고 있다”며 베트남 측의 관심을 요청했다.
푹 주석은 “한국과 베트남의 포괄적 파트너십과 상호 신뢰 기반의 협력을 기대한다”면서 바이오, 의학, 첨단기술, 국방, 안보 분야에서 한국이 베트남에 투자해 준 것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그는 또 “한국의 팬데믹 관리, 사회경제적 회복 등 베트남은 한국으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며 2009년 수립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 단계 도약시켜 나가자고 제안했다. 양 정상은 내년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를 격상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에 베트남이 변함없는 지지를 표명해준 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했다. 문화 교류에 대해서도 문 대통령은 “베트남이 한국어를 제1외국어로 선정한 것에 감사드린다”고 했다. 푹 주석은 “박항서 감독이 베트남 축구팀을 잘 이끌어 월드컵 예선전을 치르는데 다음 경기는 호주, 중국”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베트남의 월드컵 선전을 축하하고, 앞으로도 선전을 기원한다”고 했다.
출처: 조선미디어 2021.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