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부 항만협력단이 지난 10월 17일부터 19일까지 베트남을 방문해 베트남교통부 및 해운국(VINAMARINE) 등의 고위 관계자와 협력회의를 갖고 양국의 항만협력 강화 및 수주활동 지원에 나섰다.
특히, 항만협력단(단장, 임현철 항만국장)은 10월 1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베트남 교통부(레 뚜언 안 베트남교통부 국제협력국장)와 항만 개발 협력 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가졌다. 이에 양국은 항만건설 및 운영 기술 경험과 항만 인력 양성 등에 대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해수부는 베트남의 항만 기본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항만 정책 공유 및 인적 자원을 교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베트남 항만 기본 계획(2020~2030년) 수립을 지원하고 주요 항만 개발 타당성 조사 용역에도 착수한다. 해수부는 2020년 2월까지 베트남 34개 항에 대한 기본 계획과 주요 4개항 개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해수부 항만협력단이 참여한 항만 협력회의는 해수부 임현철 항만국장을 단장으로 항만공사, 항만투자협력지원센터를 비롯하여 현대상선, SM상선, CJ대한통운 등 물류 관계자 등으로 구성되었고 베트남 정부와 베트남 주요 항만 개발 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한국 기업이 참여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한 베트남 북부 지역에 급속하게 증가하는 물동량에 대비해 추진하고 있는 락후렌 신항만 등 주요 항만개발 사업에 대한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우리 국내 기업의 참여방안과 양국 간 고위급 항만 협력회의 정례화, 항만관계자 초청 연수 프로그램 참여 등 다양한 협력 강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임현철 해수부 항만국장은 “항만과 해운협력은 성공적인 신남방 정책 추진에 있어 반드시 선행돼야 할 부분”이라며 “베트남은 우리 기업 진출이 활발한 국가인 만큼 공공기관과 업계 등과 협력해 현지 항만 진출의 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항만 협력회의는 지난 3월 열린 한국과 베트남 정상회담 후속조치를 이행하기 열렸다. 베트남은 연평균 6%대 경제성장을 지속하는 국가로, 아세안(ASEAN) 지역 최대 인프라 시장이다. 국내 건설기업 수주액으로 베트남은 아시아 1위(세계 4위)를 자치하고 있어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신남방정책 핵심 국가로 꼽힌다.
◆ 지난 8월부터 준비해와
이번 회의는 해수부가 베트남과 항만분야 협력을 위해 지난 8월부터 준비해왔다. 지난 8월 14일부터 3일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제36차 아세안 해상교통 실무그룹 회의(MTWG)’에 참석해 아세안 국가들과 항만 개발 협력, 해외 협력 사업 추진 등 주요 의제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이 자리에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3국, 러시아, 인도,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운항만분야 실무자가 참석했다. 그리고 ‘아세안 단일해운시장(ASSM) 경제성 분석 시범사업’의 세부 내용과 제35차 회의에서 발표한 ‘메콩강 내륙수로운송(IWT) 개선사업’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또한 베트남을 비롯해 라오스, 캄보디아 등과 개별적으로 양자협의를 통해 국가별로 관심 있는 항만 개발사업 계획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 등을 마련했다. 이후 첫 번째 사업이 지난 달 인도네시아와 ‘한-인지 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를 개소한 것이고, 이번 베트남과의 MOU 체결이 두 번째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해양수산 부문에서 협력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도 베트남과 해양수산 부문에서 적극 협력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지난 3월 베트남 외교부 국경위원회와 해양공동 조사개발, 해양관련 정책 및 전략 수립 등에 관한 업무협력(MOU)을 체결한 바 있다. 이 업무협약을 통해 향후 해양 공동개발, 해양 경계, 보안 등에 있어서 국제협력을 확대하고, 연구 결과 및 정보의 공유, 베트남 해양부문 전문가 양성 지원, 상호 인력 교류 등을 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향후 3년간 연 3회 이상의 상호 방문 및 공동세미나 개최, 상호협력 실행 전략 공동 수립 등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수립하기로 했다.
그리고 9월에는 3월에 맺은 MOU에 따라 세계은행(World Bank Group)과 공동으로 베트남 수산분야 공무원을 초청해 한국의 수산발전 경험 및 기술을 공유하는 ‘KMI-World Bank 공동 베트남 수산분야 역량 강화를 위한 공무원 초청연수’를 실시했다. 이 연수를 통해 한국의 수산 및 연안 관리 정책에 대해 배우고, 자율어업관리, 바이오플락 새우양식 및 해조류 양식 기술, 양식생물 어병관리, 한국의 불법어업 관리, 항만개발, 해양오염 방제 등에 대해 연수를 받았다. 또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개최한 한-베트남 수산포럼에TJ 신남방정책하의 한-베트남 수산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렇게 해수부는 항만분야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해양수산 분야에서 협력하면서 베트남의 해양 분야 전반을 우리나라와 함께 하게 됐다.
베트남 외에도 아세안 국가들은 높은 경제 성장 잠재력과 대다수 국가들이 해안가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 등으로 해양해운항만 분야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향후 아세안 국가들의 거대한 잠재력, 많은 인구와 풍부한 해양수산자원에 우리나라의 해양과학기술과 접목한다면 상호 간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경옥 기자]
해양수산부 항만협력단이 지난 10월 17일부터 19일까지 베트남을 방문해 베트남교통부 및 해운국(VINAMARINE) 등의 고위 관계자와 협력회의를 갖고 양국의 항만협력 강화 및 수주활동 지원에 나섰다.
특히, 항만협력단(단장, 임현철 항만국장)은 10월 1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베트남 교통부(레 뚜언 안 베트남교통부 국제협력국장)와 항만 개발 협력 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가졌다. 이에 양국은 항만건설 및 운영 기술 경험과 항만 인력 양성 등에 대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해수부는 베트남의 항만 기본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항만 정책 공유 및 인적 자원을 교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베트남 항만 기본 계획(2020~2030년) 수립을 지원하고 주요 항만 개발 타당성 조사 용역에도 착수한다. 해수부는 2020년 2월까지 베트남 34개 항에 대한 기본 계획과 주요 4개항 개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해수부 항만협력단이 참여한 항만 협력회의는 해수부 임현철 항만국장을 단장으로 항만공사, 항만투자협력지원센터를 비롯하여 현대상선, SM상선, CJ대한통운 등 물류 관계자 등으로 구성되었고 베트남 정부와 베트남 주요 항만 개발 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한국 기업이 참여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한 베트남 북부 지역에 급속하게 증가하는 물동량에 대비해 추진하고 있는 락후렌 신항만 등 주요 항만개발 사업에 대한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우리 국내 기업의 참여방안과 양국 간 고위급 항만 협력회의 정례화, 항만관계자 초청 연수 프로그램 참여 등 다양한 협력 강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임현철 해수부 항만국장은 “항만과 해운협력은 성공적인 신남방 정책 추진에 있어 반드시 선행돼야 할 부분”이라며 “베트남은 우리 기업 진출이 활발한 국가인 만큼 공공기관과 업계 등과 협력해 현지 항만 진출의 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항만 협력회의는 지난 3월 열린 한국과 베트남 정상회담 후속조치를 이행하기 열렸다. 베트남은 연평균 6%대 경제성장을 지속하는 국가로, 아세안(ASEAN) 지역 최대 인프라 시장이다. 국내 건설기업 수주액으로 베트남은 아시아 1위(세계 4위)를 자치하고 있어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신남방정책 핵심 국가로 꼽힌다.
◆ 지난 8월부터 준비해와
이번 회의는 해수부가 베트남과 항만분야 협력을 위해 지난 8월부터 준비해왔다. 지난 8월 14일부터 3일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제36차 아세안 해상교통 실무그룹 회의(MTWG)’에 참석해 아세안 국가들과 항만 개발 협력, 해외 협력 사업 추진 등 주요 의제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이 자리에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3국, 러시아, 인도,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운항만분야 실무자가 참석했다. 그리고 ‘아세안 단일해운시장(ASSM) 경제성 분석 시범사업’의 세부 내용과 제35차 회의에서 발표한 ‘메콩강 내륙수로운송(IWT) 개선사업’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또한 베트남을 비롯해 라오스, 캄보디아 등과 개별적으로 양자협의를 통해 국가별로 관심 있는 항만 개발사업 계획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 등을 마련했다. 이후 첫 번째 사업이 지난 달 인도네시아와 ‘한-인지 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를 개소한 것이고, 이번 베트남과의 MOU 체결이 두 번째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해양수산 부문에서 협력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도 베트남과 해양수산 부문에서 적극 협력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지난 3월 베트남 외교부 국경위원회와 해양공동 조사개발, 해양관련 정책 및 전략 수립 등에 관한 업무협력(MOU)을 체결한 바 있다. 이 업무협약을 통해 향후 해양 공동개발, 해양 경계, 보안 등에 있어서 국제협력을 확대하고, 연구 결과 및 정보의 공유, 베트남 해양부문 전문가 양성 지원, 상호 인력 교류 등을 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향후 3년간 연 3회 이상의 상호 방문 및 공동세미나 개최, 상호협력 실행 전략 공동 수립 등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수립하기로 했다.
그리고 9월에는 3월에 맺은 MOU에 따라 세계은행(World Bank Group)과 공동으로 베트남 수산분야 공무원을 초청해 한국의 수산발전 경험 및 기술을 공유하는 ‘KMI-World Bank 공동 베트남 수산분야 역량 강화를 위한 공무원 초청연수’를 실시했다. 이 연수를 통해 한국의 수산 및 연안 관리 정책에 대해 배우고, 자율어업관리, 바이오플락 새우양식 및 해조류 양식 기술, 양식생물 어병관리, 한국의 불법어업 관리, 항만개발, 해양오염 방제 등에 대해 연수를 받았다. 또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개최한 한-베트남 수산포럼에TJ 신남방정책하의 한-베트남 수산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렇게 해수부는 항만분야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해양수산 분야에서 협력하면서 베트남의 해양 분야 전반을 우리나라와 함께 하게 됐다.
베트남 외에도 아세안 국가들은 높은 경제 성장 잠재력과 대다수 국가들이 해안가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 등으로 해양해운항만 분야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향후 아세안 국가들의 거대한 잠재력, 많은 인구와 풍부한 해양수산자원에 우리나라의 해양과학기술과 접목한다면 상호 간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경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