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이란?

턱관절이란?

위턱과 아래턱 사이에도 다른 뼈 사이에 관절이 있듯이 턱관절이 있어 위, 아래턱을 연결해 주고 있다.
전문용어로는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이라 하며, 위턱뼈(상악골)가 고정되어 있는 관자놀이 뼈(측두골)에 아래턱뼈(하악골)를 연결하여 아래턱이 좌/우,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여 치아로 하여금 음식을 씹을 수 있도록 하는 관절의 하나이다.
측두골과 하악골의 사이에는 관절원판이라고 하는 섬유성 원판(Disc)이 위치하고 있어 아래 턱뼈의 상단인 과두(Condyle)로부터 턱관절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거나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턱관절 장애 증후군(턱관절 장애, Temporo-mandibular disfunction syndrome, TMD)
갑자기 입이 벌어지지 않거나, 하품을 한 후 입이 다물어지지 않아 당황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급성 턱관절 탈구현상이다. 어떤 사람은 입을 벌리고 다물 때 귀 앞부분에서 소리가 난다. 심하면 옆의 사람도 들릴 정도이다. 어느 경우는 귀 앞부분이 아파 고생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모든 증상을 일러 턱관절 장애증후군이라 한다.
턱관절 장애는 통계적으로 30% 정도의 인구가 고통 받고 있는 현대병의 하나이다. 턱관절 장애는 생활 가운데서 오는 스트레스, 과로, 긴장 등의 스트레스 기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많은 원인이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부정교합이다. 치아의 배열이 고르지 않아 위, 아래 치아가 정상으로 맞물림이 안 되면 턱관절장애가 생긴다. 그러므로 턱관절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교정치료는 필수이다. 턱관절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아니한 교정치료는 오히려 턱관절 장애를 키울 수 있다. 턱관절과 부정교합의 연관성을 몰라 오래 동안 방치하여 병을 키우기 쉽다.
부정교합으로 인하여 턱관절장애가 생기면 턱관절 주변의 근육통 뿐 아니라 원인을 알 수 없는 편두통도 생긴다. 이 두통은 턱관절 주변 근육이 긴장하면 생기는 일종의 연관통이다.
심한 경우는 턱관절장애로 말미암아 견비통, 이명 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이런 증상은 교정치료를 하면 없어진다.
턱관절 장애의 원인
턱관절 장애의 원인은 직접적 원인과 간접적 원인이 있다. 외상이나 염증 등의 직접적 원인은 턱관절 부위 자체의 손상이나 병변을 일으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턱관절과 관련된 다른 조직계통이 유발인자가 되어 턱관절에 장애를 일으킨다. 대표적인 유발인자는 치아이다.
치아와 턱관절은 음식을 씹는 조직계통을 이룬다. 그러므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치아의 문제가 턱관절에 영향을 준다.
턱관절 장애로 인한 증상들은 하나의 불편 사항이다. 참고 지내면 지낼 수 있다. 그러나 삶의 질을 생각하면 큰 불편 사항이다. 특히 여성에서는 남성보다 턱관절 장애가 여성 홀몬의 영향을 받아 불편한 상황에서 병변으로 넘어갈 확률이 매우 높다는 학계의 보고가 있다.
전신적인 다발성 관절염을 가진 사람이 치아로 인한 유발 인자를 가지고 있으면 턱관절의 관절두가 흡수되고 치아의 맞물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심각한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 부정교합에 의한 교합간섭 현상
치열이 고르지 않은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위, 아래 치아가 맞물릴 때 서로 충돌하는 현상인 교합간섭현상이 생긴다. 교합간섭현상은 다른 병에서처럼 환자가 알 수 있는 뚜렷한 증상이 없다. 치과의사도 육안으로는 찾아내기가 힘들다.
치아의 맞물림이 앞 뒤 치아, 좌우 치아에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먼저 닿는 접점이 지레점이 되어 관절을 탈구시키고 관절에 연결된 여러 저작근육을 긴장시킨다.
저작근육의 긴장(근육 뭉침)으로 시작된 근/신경증후군은 저작근과 연관된 다른 근육에 연관통(편두통, 어깨 근육통, 뒷목 근육통)을 만들게 된다.

● 치아 악물기(Clenching)
스트레스, 과로, 긴장 상태가 턱관절 장애의 원인이 된다. 이런 일로 긴장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도 몰래 치아를 악물게 된다. 이처럼 치아를 꽉 무는 긴장현상을 Clenching이라 하며 이런 현상은 잠잘 때 더욱 심해진다. 이 현상은 이갈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부정교합으로 인한 교합간섭현상이 있는 경우 Clenching을 하면 턱관절에 파괴적인 영향을 준다. 턱관절로 인하여 두통을 가진 경우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로할 때 두통이 더 심해지는 것은 clenching에 그 원인이 있다.

● 외상(Trauma from Accident)
교통사고, 가격 등 턱에 가해진 충격으로 턱관절이 손상되어 턱관절 장애가 생긴다. 승용차가 생활의 필수품이 되고 자동차 사고의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 사고와 관련된 턱관절 장애도 발생빈도가 많아진다고 본다.
특히 추돌 사고 시 머리가 뒤로 젖혀졌다가 다시 앞으로 세게 숙여질 때 턱 끝이 가슴을 치면서 턱관절에 손상을 입는다 이로 인한 턱관절장애 현상을 whip lash라 하며 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자동차 사고에서는 눈으로 크게 보이는 사고부위에 치료가 집중되게 된다. 턱관절에 생긴 손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냥 넘어간다. 그러나 몇 년이 지난 후 사고에 대한 기억이 없어질 때쯤 이유를 모를 두통이나 후경부 통증, 견비통이 나타나고 때로는 증상이 매우 심해 고생을 하는 사례의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교통사고 당시에 입었던 턱관절 손상이 뒤늦게 엉뚱한 부위의 통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런 증상이 교통사고 당시의 손상으로 인한 턱관절장애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 하더라도 이미 모든 배상조치가 끝난 후이므로 달리 호소할 수는 없다.
선진국에서는 whip lash를 교통사고 배상보험 항목의 하나로 사고 당시부터 반드시 검토하고 있다.